2019 다음을 위한 닿음

Role

연구 Director

Location

서울시 서대문구 Seodaemun-gu, Seoul

Credit

주최 : 무소속연구소
주관 : 서대문구
후원 : 서울문화재단
협력 : 서대문구 사회적경제마을자치센터

Host : Musosoklab
Organizer : Seodaemun-gu
Suppport :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utre
Partners : 서대문구 사회적경제마을자치센터

서대문 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역 자원 조사 및 연구 ‘다음을 위한 닿음’

‘서대문 지역예술교육 활성화 사업’은 예술적인 삶을 추구하는 서대문구의 구성원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사업입니다. 예술은 우리의 일상에 있습니다. 예술적인 삶은 일상의 예술을 함께 나눌 관계를 만들고 활동하는 모든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예술교육은 예술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한 교육과 활동이 되어야 합니다. ‘서대문 지역예술교육 활성화 사업’의 화두는 ‘닿음’입니다. 서대문에는 예술을 나눌 많은 장소와 사람들이 있지만, 지역의 예술교육과 새롭고 다양한 예술 활동에 대해 함께 논의하기에는 주체들 간에 해소되지 않는 거리감이 있습니다. 우리는 ‘서대문 지역예술교육 활성화 사업’을 통해 예술교육을 하는 사람들이 서로 교육하고 협업하는 공간, 예술적인 삶을 추구하는 주민들이 서대문 지역의 어디에서든 접근할 수 있는 공간, 새로운 예술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제안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려고 합니다. 우리가 추구하는 곳은 예술교육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이 서로 ‘닿아’ 있는 공간이 될 것입니다.

1. 연구 개요
1.1. 연구 배경 및 목표
1.2. 연구 목적
1.3. 연구 기간
1.4. 추진 단계

2. 연구 리서치
2. 1. 다음을 위한 오늘
2. 1. 1. 서대문 지역 분석
2. 1 .2. 지역 예술 거점 조사 인터뷰
-공공 영역 거점
•서대문구 문화체육과 김성우 주무관
•서대문구 사회적경제마을자치센터 이명희 주무관
•서대문구 혁신교육지구 김선희 팀장
•신촌 파랑고래 담당자
– 민간 영역 거점
•닷라인
•명랑캠페인
•아이공
•아터테인
•연희예술극장
•최게바라
•카페샘
•포토브릿지
2. 2. 닿음을 위한 상상
2. 2. 1. 내러티브 연구 : 라운드테이블
ROUND 1 교육과 함께 예술하기
ROUND 2 서대문에서 예술하기
ROUND 3 예술과 함께 교육하기
ROUND 4 서대문의 예술교육 – A
ROUND 4 서대문의 예술교육 – B
2. 2. 2. 예술매개 연구 : 의자 프로젝트

3. 연구 시사점
3. 1. 지역 조사 시사점
3. 2. 예술교육 시사점
3. 3. 다음을 위한 닿음

4. 다음을 위한 닿음
-지역의 풍요로운 삶으로 이어지는 여정으로서의 예술교육 : 서지혜
-서대문의 예술교육 공간 : 오희영
-예술을 누릴 권리 : 정유미
-우리 마을의 예술교육을 위해서 어떤 거점이 필요할까? : 김하림
❖ 부록 “서대문 예술교육이란?”

ISBN 979-11-958290-7-1

/vc_column_text]

Connect to Community : local art education’
A study on jump-starting art education at Seodaemun

‘Jump-starting art education at Seodaemun’ is a project where residents of Seodaemun come together to create and widen art education. Just as art is part of our everyday lives, and an artful life is the process of creating connections to share daily art, art education should strive to become an activity to live an artistic life. This year, the theme of the project is ‘connection’. Despite the human and locational resources for art, the distance between local art education and art activity still persist. Through ‘Jump-starting art education at Seodaemun’, Musosoklab aims to create a space where people can work together to teach art, a space where artistic residents can easily access, and a space where ideas can freely flow; to ‘connect’ people through art education.

1. Research Overview
1.1. Research Background and Goals
1.2. Research Purpose
1.3. Research Period
1.4. Research Steps

2. Research
2.1. For a Better Tomorrow
2.1.1. An Analysis of Seodaemun
2.1.2. Interviews with Local Art Hubs
-Public Art Hubs
•서대문구 문화체육과 김성우 주무관
•서대문구 사회적경제마을자치센터 이명희 주무관
•서대문구 혁신교육지구 김선희 팀장
•신촌 파랑고래 담당자
– Private Art Hubs
•닷라인
•명랑캠페인
•아이공
•아터테인
•연희예술극장
•최게바라
•카페샘
•포토브릿지
2.2. Imagining of Connections
2.2.1. Narrative Study : Round Table
ROUND 1 Art with Education
ROUND 2 Art in Seodaemun
ROUND 3 Education with Art
ROUND 4 Art Education in Seodaemun – A
ROUND 4 Art Education in Seodaemun – B
2.2.2. A Study on Mediums of Art : The Chair Project

3. Research Implications
3.1. Implications on Local Research
3.2. Implications of Art Education
3.3. Connection for the Next Step

4. Connections for the Next Step
-Art Education as a Journey For A Full Life : 서지혜
-Spaces for Art Education at Seodaemun : 오희영
-The Right to Appreciate Art : 정유미
-What Hubs Do We Need For Art Education? : 김하림

❖ Appendix “Seodaemun Art Education”

ISBN 979-11-958290-7-1